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휴대폰 구매할 때 가장 고민되는 부분은 공시지원금을 택할지, 선택약정을 택할지입니다. 두 제도의 차이를 알고, 나에게 가장 유리한 선택을 하면 최대 수십만 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1️⃣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 – 기본 개념
공시지원금이란?
- 단말기 출고가에서 일정금액을 할인받는 제도
- 이통사와 제조사가 공개한 금액 이며, 24개월 약정 조건을 걸고 제공합니다
- 할부원금에서 지원금을 뺀 금액을 기반으로 요금을 계산
선택약정이란?
- 요금제 월정액의 25%를 12개월 또는 24개월 할인받는 제도
- 단말기 가격에는 영향 없으며, 서비스 요금을 직접 절약하는 방식
2️⃣ 계산 방식을 이해하자
📊 공시지원금 방식
복사편집
월 납부요금 = (단말기 출고가 – 공시지원금) ÷ 할부 개월수 + 요금제+부가세
예: 출고가 100만 원, 공시지원금 20만 원, 24개월 할부 시
- 남은 기기값 80만 원 → 월 33,333원
- 요금제 59,000원 + 부가세 → 총 월 99,223원
📊 선택약정 방식
matlab
복사편집
월 납부요금 = 요금제 – (요금제 × 25%) + 할부금(출고가 ÷ 할부 개월수)
출고가 100만 원, 59,000원 요금제 경우
- 요금제 할인액 = 14,750원
- 월 납부 = 할부 + (59,000 – 14,750)
3️⃣ 어떤 조건에서 유리할까?
상황추천 제도이유
45,000원 이하 저가 요금제 | 공시지원금 | 기기값 할인 폭이 클 때 유리 |
69,000원 이상 고가 요금제 | 선택약정 | 25% 요금 할인 금액이 더 큼 |
단말기 오래 쓰고자 할 때 | 선택약정 | 월 요금 절약 지속 가능 |
자주 기기 바꿀 계획이 있을 때 | 공시지원금 | 초기 할인 받고 빠르게 교체 가능 |
- 대체로 저가 요금제는 공시지원금, 고가 요금제·장기 사용은 선택약정이 유리
4️⃣ 위약금 조건 비교
⛔ 공시지원금 위약금
복사편집
위약금 = (지원금 ÷ 24개월) × 남은 개월 수
예: 34만 원 지원 받았고 12개월 남으면 → 34만 × (12/24) = 17만 원
유예 조건: 잔여 약정이 6개월 미만일 경우, 같은 통신사로 기기 변경 시 위약금 면제 가능
⛔ 선택약정 위약금
- 약정 기간 내 요금제 해지, 요금제 변경, 타 통신사 이동 시 발생
- LG U+ 기준:
- 12개월 약정 → 12개월 50% 등 차등 계산
- 24개월 약정 → 24개월 잔여 기간 비례 계산
5️⃣ 실제 사례로 절약 효과 비교
예시:
- 출고가 100만 원, 공시지원금 20만 원, 요금제 59,000원, 24개월 사용 가정:
공시지원금 선택 시
- 기기값: 33,333원
- 요금: 59,000원 → 월 92,333원
- 24개월 총 비용 ≈ 2,216,000원
선택약정 선택 시
- 요금 할인액: 14,750원
- 기기값: 41,667원
- 요금: 44,250원 → 월 합계 85,917원
- 24개월 총 비용 ≈ 2,062,000원
→ 약 154,000원 절약!
6️⃣ 절약 전략 및 꿀팁
- 온라인/공식대리점에서 공시지원금+추가지원금 챙기기
- 스마트초이스, 뱅크샐러드 등 요금 비교 플랫폼 적극 활용
- 사용 계획 기준: 1년 이하 → 공시지원금, 2년 이상 사용 → 선택약정
- 자급제폰 + 선택약정 조합은 가장 경제적일 수 있음
- 약정 만료 직전 자동 재약정 예약도 고려하여 추가 할인 기회 확보
7️⃣ 자주 묻는 질문(FAQ)
Q.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A. 불가능합니다. 반드시 하나만 선택해야 합니다
Q. 자급제폰에도 선택약정 할인이 가능하나요?
A. 네, 통신사 등록 후 선택약정으로 할인 가능합니다 (공시지원금은 불가).
Q. 위약금 없이 약정 해지 가능한가요?
A. 공시지원금은 6개월 이후 기기변경으로 유예 가능, 선택약정은 위약금 정책에 따라 계산됩니다.
✅ 마무리 및 요약
- 45,000원 이하 요금제: 공시지원금
- 69,000원 이상 요금제: 선택약정
- 1년 사용 계획: 공시지원금
- 2년 이상 장기 사용: 선택약정
- **초기 비용 ↓**를 우선하면 공시지원금,
- 장기 비용 절약 ↓ 원한다면 선택약정!
📊 요금 계산 추천 플랫폼: 스마트초이스, 세티즌 등에서 공시지원금·선택약정 시뮬레이션 해보세요
📌 결론:
- 본인의 요금제, 사용 기간, 기기 계획을 먼저 고려하고,
- 스마트초이스 등 비교 도구로 계산 후,
-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을 선택하세요!
도움 필요하시면 언제든 비교해 드릴게요 😊
반응형
'제도,청년,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민생회복지원금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(전주 편) (2) | 2025.07.09 |
---|---|
민생회복 소비쿠폰 인터넷결제 가능할까? 조건과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7.09 |
지하철 에어컨 냉방 문제 서비스 개시및 운영 (0) | 2025.07.08 |
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사용처 총정리 (1) | 2025.07.08 |
"청년기본소득 신청 방법 총정리|지급일·조건·주의사항" (1) | 2025.07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