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2025년 들어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암호화폐를 넘어 글로벌 금융 인프라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
이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시장 규모, 성장 흐름, 경제 영향, 제도적 맥락을 광범위하게 분석합니다.
1. 글로벌 시장 규모 – 총정리
1.1 시가총액 현황
- 2025년 5월 기준, 스테이블코인 전체 시가총액은 약 **$2470억(≒약 320조 원)**이며, 이는 미국 화폐 유통량의 약 10% 규모입니다
- 2024년 대비 연간 약 54% 증가함 .
- 9월 2024 기준, 시가총액은 $1728억, 2025년 현재 40% 이상 증가
1.2 성장 추이
- 2019년 시장은 $20억 규모에서 2025년 $208억으로 성장, 연평균 28% 증가 .
- 2025년 들어 다시 17% 상승, 시총 $2280억 기록
1.3 거래량 및 유통 속도
- 2024년 기준 총 거래량은 약 $27.6조로 Visa·Mastercard를 초월
- 2025년 1사분기 유통량은 2주 연속 사상 최고치 달성 .
- 일평균 전송량 증가, 코드 기반 정산·급여 지급 등 기업 수요 증가 .
2. 지역별 시장 특징
지역시가총액특징
미국/유럽 | $1360억(USDT‧USDC 중심) | 기관·결제기업 중심 부상 |
아시아 | 약 $600억 | 빠른 채택, 일본·홍콩 규제 선도 |
신흥국 | 비공개 | 환율 활용 유입 활발 |
- 유럽: MiCA 시행, 외국발 스테이블코인을 자국 승인체제로 정비
- 미국: Senate GENIUS Act 통과, 기관·금융사 참여 확산
- 아시아: 홍콩·일본, 제도 정비 진전 중 .
3. 주요 코인 점유율
코인약정 시가총액점유율
USDT | $1550억 | 60–68% |
USDC | $610억 | ≈25% |
DAI 등 | $54억, 기타 | 나머지 ~15% |
- USDT는 글로벌 채택 1위, USDC는 규제・기업 친화적 옵션으로 2위 구축.
4. 시장 성장 요인
- 규제 명확성 제고
- 미국 GENIUS Act, 유럽 MiCA, 일본·홍콩 정책 정비
- 기관·기업의 도입 확대
- PayPal PYUSD, Stripe, PayU, Bank of America 등 실사용 시범
- 인도적 금융 포함 추진
- 언뱅크드 대상 접근성 확대 기대
- 기술 인프라 고도화
- 다중 블록체인 간 통합, 스마트컨트랙트 상결합 "Provable” 증가
5. 금융 시스템에 대한 영향
- 은행 예금 대체 가능성
Citi 예측: 5년 내 $4조 규모까지 확대 전망 - 국채 시장 영향
USDT 채권 보유 증가 → 금리·채권 수요 구조 변화 - 글로벌 결제 실무 혁신
실시간 B2B 송금, 급여·대금 지급에 활용 확대 - CBDC와 경쟁/협업 구도 형성
국가 발행 디지털 화폐와 민간 스테이블 대응 전략 논의 중.
6. 주요 리스크
- 규제 충돌: 다국적 제도 차이로 인한 혼란 가능성
- 불법 활용 우려: 자금세탁, 탈세, 사이버범죄 도구로 사용 가능성
- 기술·유동성 리스크: 급변 시 ‘디페깅’ 및 환매 한계
- 금융 시스템 충격: 은행 수요 감소, 예금 기반 약화 가능성
7. 한국에서의 의미
- 2025년 1분기 국내 거래액 57조 원 수준
- 한은·금융위는 CBDC 중심 논의 중이나 빠른 제도화 필요 .
-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경쟁·금융 혁신 관점에서 필수 과제.
FAQ – 자주 묻는 질문
Q1.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얼마나 큰가요?
➡ 2025년 기준 약 $2470억(≒320조 원), 2024년보다 54% 성장한 수준입니다
Q2. 주요 코인은 무엇인가요?
➡ USDT(≈60–68%), USDC(≈25%), **DAI 등 나머지 10–15%**입니다
Q3. 성장은 왜 빠른가요?
➡ 규제 확정 + 기관 참여 + 디지털 금융 인프라 확대가 복합적으로 작용 중입니다 .
Q4. 한국은 어떤 상황인가요?
➡ 국내 거래액은 1분기 기준 57조 원에 달하며, 제도화는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.
Q5. 은행 시스템은 안전한가요?
➡ 은행 예금이 스테이블로 일부 넘어가는 흐름이 있어 금융 건전성 측면에서 감시와 대응 중요합니다 .
결론
-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고속도로를 달리고 있는 중, 2025년엔 법제화, 기관 도입, 금융 생태계 구조 변화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.
- 320조 원 규모, 주요 코인은 USDT와 USDC이며 매년 수십 퍼센트씩 성장 중입니다.
- 다만 리스크 및 금융 시스템 충격 우려도 함께 존재해, 정책당국과 기업의 신속하고 균형 잡힌 대응이 필수입니다.
반응형
'제도,청년,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alantir(PLTR) 완전 분석 – AI 빅데이터와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선 기업 (2) | 2025.07.06 |
---|---|
팔란티어 테크놀로지 전망, 100달러 돌파 후 어디까지 갈까? (0) | 2025.07.06 |
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(Algorithmic Stablecoin) 완전 가이드 (0) | 2025.07.06 |
스테이블코인 장단점 완전정리 – 디지털 자산의 ‘안정’과 ‘위험’을 함께 읽다 (1) | 2025.07.06 |
대표 스테이블코인 종류 총정리 – USDT·USDC·DAI 등 비교 분석 (3) | 2025.07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