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유심(USIM) 정보 유출 해킹 사건과 관련된 집단소송 안내

    1. 사건 개요 및 피해 규모

    • 2025년 4월 18일경, SKT의 핵심 서버(HSS)에 악성코드가 침투하여 약 2,500만 명 가입자의 유심 관련 정보(비밀키 포함)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 
    •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정부 조사 결과, 이 사고는 기업의 보호 의무 위반에 해당하며, SKT의 귀책 사유가 인정되어 위약금 면제 조치가 권고되었습니다 

     

    2. 정부와 SKT의 대응 조치

     

     

    • 위약금 면제: 사고 전 약정이 있던 고객이 2025년 7월 14일까지 해지할 경우 위약금이 면제됩니다 
    • 무료 유심 교체 및 유심보호서비스: SKT는 4월 28일부터 전국 T월드 매장에서 무료 유심 교체를 제공하고,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시 유사한 수준의 보호를 제공합니다 
    • 피해 예방 강화 조치: 악성코드 제거, 외부 침입 장비 격리, 비정상 인증 차단, 시스템 전수 조사, 정기 보안 감사 예정 

    3. 집단소송 현황

    • 참여자 규모:
      • 초기 약 9,213명이 로피드법률사무소 중심의 첫 소송에 참여하며, 총 손해배상 청구액은 약 4.6억 원, 1인당 50만 원 기준 
      • 이후 1만 명 이상, 나아가 3만 명 이상까지 참여자가 증가한 상황입니다 
    • 청구 금액 사례:
      • 법무법인 로고스는 1인당 30만 원, 법무법인 거북이는 100만 원 청구 사례도 있으며 
      • 평균적으로 50만 원 수준의 위자료가 법원에 청구 중입니다 
    • 소송 비용 및 구조:
      • 초기 착수금은 대부분 무료 또는 1만원 이하이며, 승소 시 청구액의 10~20%를 성공보수로 지급하는 방식입니다 
      • 일부 소송은 패소 시 추가 비용 없음으로 조건 설정 중입니다.

     

    4. 집단소송의 실익과 전망

    • 어려운 승소 가능성:
      • 유출 사실은 명백히 증명되지만, 정신적 피해 금전화 입증이 주요 쟁점이며, 이를 법원이 어떻게 판단할지가 결과에 영향을 미칩니다 
      • SKT가 고의 또는 중과실 책임을 져야 하는지 여부가 핵심 법적 논점으로 남아있습니다.
    • 징벌적 손해배상 논의 확대:
      • 이번 사건을 계기로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으며, 향후 보험 또는 법제도의 개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 
    • 대체 구제 수단:
      • 빠른 해결이 필요한 경우, 개인·소비자 단체 또는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분쟁 조정 신청도 가능합니다. 소송보다는 상대적으로 빠른 결론이 예상됩니다 (6개월~2년 예상) 

    5. 참여 방법 및 유의사항

    • 집단소송 참여 경로:
      • 대표 참여 로펌: 로피드, 노바, 대건, 로고스, 다산법률사무소 등 다수 참여 가능.
      • 대부분 네이버 폼 또는 법무법인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방식이며, 초기 착수금은 무료 또는 소액 수준입니다 
    • 주의사항 요약:
      • 중도 참여 비용 및 성공보수 구조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      • 피해 사실 입증 자료 (예: 해킹 통지 안내문, SKT 통지 기록 등)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    • 스미싱·피싱 주의: SKT 또는 정부기관을 사칭하여 원격제어 앱 설치 유도, 개인정보 요구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절대 응하지 말아야 합니다

    ✅ 요약 정리

    항목내용
    피해 대상 SKT 유심 정보(키 관련) 포함, 약 2,500만 명 가입자
    집단소송 참여자 현재 1만~3만 명 이상 예상
    평균 청구액 30만~50만 원 /인 수준
    초기 착수금 대부분 무료 또는 1만원 이하, 성공보수 존재
    승소 전망 정신적 피해 입증이 관건, 승소 어려울 수 있음
    대체 구제 분쟁조정 신청 추천 (소송보다 빠름)
    유의사항 신청 방식, 위자료 조건 확인 및 피싱주의
     

    🛡️ 추천 대응 방법

    1. 소송 참여 전 조건 확인: 착수금, 성공보수, 소속 법무법인, 약관 조건 등을 꼼꼼히 따지세요.
    2. 분쟁조정 고려: 빠른 구제를 원하면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접수도 병행을 추천합니다.
    3. 보안 조치 이행: 이미 무료 유심 교체 또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후, 필요시 즉시 신청하세요.
    4. 피싱 경계: SKT나 정부기관에서 원격 제어 앱 설치나 개인정보 요구는 정상 요청이 아니므로 응하지 말고 신고하세요.

    필요하시면 참여 가능한 법무법인 리스트, 신청 링크, 분쟁 조정 절차, 또는 피해 입증 자료 준비 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안내드릴 수 있습니다. 언제든 말씀해주세요.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