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월 최대 20만 원 기초연금 지급

     

    2025년 7월 1일부터 기존의 ‘기초노령연금법’을 완전히 대체하는 새 기초연금법이 시행됩니다.
    이로써 만 65세 이상 소득 하위 70% 노인매월 최대 20만 원의 기초연금을 받게 됩니다.
    아랫글에서 대상자 기준, 소득인정액 계산 방식, 신청 절차까지 상세히 설명드릴게요.

     

     1. 대상 기준과 금액

    • 대상: 만 65세 이상(정확히는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)
    • 금액: 월 최대 20만 원
    • 선정 기준: 소득 하위 70% → 기준선 이하인 경우 지급

     2. 소득인정액 기준

    소득인정액 = (월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)

    가구 형태상한 기준
    노인 단독 87만 원 이하
    부부 가구 139만 2천 원 이하
     

    → 이 기준을 넘지 않으면 기초연금 지급 대상에 들어갑니다.

     3. 자산·재산의 재산환산 방식 주의

    • 고가 차량(4천만 원 초과), 고액 회원권 등은 기본공제 제외,
      모두 소득환산액에 포함되어 소득인정액 상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    • 자녀 명의 만 6억 원 초과 주택 거주 시,
      연 0.78% 무료임차소득이 부과되어 소득인정액 추가 상승!
    주택 시가표준액무료임차소득
    6억 원 39만 원
    7억 원 45.5만 원
    8억 원 52만 원
    9억 원 58.5만 원
    10억 원 65만 원
    11억 원 97.5만 원
    12억 원 130만 원
     

    🔍 공동 소유 시 지분율만큼 계산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4. 신청 시기와 방법

    • 신청 기간:
      만 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
      (예: 1949년 7월생 → 2014.7부터 가능)
    • 신청 장소:
      1. 주소지 읍·면사무소·동 주민센터
      2. 국민연금공단 지사
      3. 온라인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
    • 기초노령연금 받는 분:
      → 대체법 시행 시 별도 신청 불필요.
      기존 급여자에게 자동으로 전환 적용됩니다.

     5. 대리·방문 신청 방법

    • 대리 신청 가능 대상:
      배우자, 자녀, 자매자매, 시설장 등
      • 지참 서류: 위임장, 대리인 및 신청자 신분증,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등
    • 거동 불편 어르신:
      • 담당 공무원이 방문 신청도 가능
      • 신청서·금융정보 동의서 지참 방문해 지원

     

     6. 이렇게 진행되는 지급 로드맵

    1. 7월 1일 법 시행
    2. 해당 기준 충족 노인은 단계적으로 자동 전환
    3. 신규 대상자는 주민센터/국민연금공단/복지로에서 신청
    4. 기존 수급자는 별도 처리 없이 전환

     7. 미리 체크하세요!

    1. 내 소득·재산 기준이 70% 이하인지 → 기초연금 수급 가능 여부
    2. 4천만 원 이상의 차량, 고가 회원권 여부 → 소득인정액 과다상승 우려
    3. 6억 원 넘는 자녀 명의 주택 있는 경우 → 무료임차소득 포함
    4. 방문 신청, 대리 신청 이용 시 필요한 서류 및 절차 미리 확인
    5. 온라인 신청 자가 확인: 복지로 및 공단 홈페이지 이용법 숙지

     8. 마무리 요약

    • 2025년 7월 1일부터 만 65세 이상 소득 하위 70% 어르신에게
      월 최대 20만 원의 기초연금 지급
    • 소득ㆍ재산 기준(단독 87만, 부부 139.2만)을 충족하는 경우 대상
    • 고가 자산(4천만 원 차량, 고가 회원권, 6억 원 주택 등)은 재산환산 과정에서 소득으로 간주
    • 신청 방법은 오프라인/방문/온라인으로 운영되며, 기존 수급자는 자동 전환

    👉 출생연도소득·재산 현황을 확인한 뒤,
    월 최대 20만 원의 기초연금 혜택을 꼭 놓치지 마세요!

     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