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연봉 협상 또는 이직 준비를 하면서 실제로 얼마를 받는지 궁금해합니다. 하지만 연봉은 세전 기준이며, 실수령액은 세금 및 4대 보험 공제 후 금액이기 때문에 체감 급여는 다를 수 있습니다.

    2025년 최신 세율과 공제율을 반영하여, 연봉별 실수령액을 표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

     

    1.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표 (1인 기준, 월 수령 기준)

    기준: 독신, 부양가족 없음 / 비과세 없음 / 일반 근로자 기준

    연봉(세전)

    월급(세전)

    예상 실수령액(월)

    연간 실수령액(총합)

    2,400만원 약 200만원 약 175~178만원 약 2,100만원
    3,000만원 약 250만원 약 213~217만원 약 2,580만원
    3,500만원 약 291만원 약 247~252만원 약 2,980만원
    4,000만원 약 333만원 약 278~285만원 약 3,330만원
    4,500만원 약 375만원 약 309~317만원 약 3,700만원
    5,000만원 약 416만원 약 341~351만원 약 4,100만원
    5,500만원 약 458만원 약 371~382만원 약 4,460만원
    6,000만원 약 500만원 약 404~417만원 약 4,850만원
    6,500만원 약 541만원 약 433~447만원 약 5,200만원
    7,000만원 약 583만원 약 467~482만원 약 5,600만원
    8,000만원 약 666만원 약 523~540만원 약 6,300만원
    9,000만원 약 750만원 약 578~595만원 약 6,950만원
    1억원 약 833만원 약 632~650만원 약 7,600만원

     

     

    2. 세금 공제 항목 안내

    • 국민연금: 4.5%
    • 건강보험: 3.545% + 장기요양보험: 약 12.81% 별도 부과
    • 고용보험: 0.9%
    • 소득세 + 지방소득세: 연봉 구간별 누진세율 적용

    연봉이 높을수록 세금 부담이 커지고, 실수령 상승폭은 둔화됩니다.

     

    3. 실수령액 상승률 예시

    연봉 인상

    실수령 인상

    상승 체감률

    3,000만원 → 4,000만원 약 +66만원 약 +31%
    4,000만원 → 5,000만원 약 +63만원 약 +23%
    5,000만원 → 6,000만원 약 +66만원 약 +19%
    6,000만원 → 7,000만원 약 +65만원 약 +16%

    고연봉일수록 실수령 인상 체감이 줄어드는 만큼, 비과세 수당, 복지, 주택지원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
    결론

    2025년 실수령액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이직, 연봉 협상, 가계 재정 계획에 매우 중요합니다. 위 표를 참고하여 현재 본인의 수령액을 확인하고, 목표 연봉 설정이나 세금 절세 전략 수립에 활용해 보세요.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숫자, 지금부터 제대로 알고 준비합시다!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