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2025년 9월 1일부터 달라지는 제도 완벽 정리

    2025년 하반기부터 여러 분야에서 크고 작은 제도 변화가 시작됩니다.
    금융 안정, 기업 운영, 수입 통관, 농식품, 검역, 기술 보호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변화가 생기는데요.
    특히 예금자 보호 한도 상향은 모든 금융 소비자에게 직접 영향을 주는 핵심 변화입니다.


     

    1. 예금자 보호 한도 상향: 5천만 원 → 1억 원 (실질적 증가)

    • 시행일: 2025년 9월 1일
    • 적용범위: 은행, 저축은행, 보험사, 상호금융권(신협·농협·새마을금고 등)
    • 보호 상품:
      • 예·적금, 원금 보장 신탁, 외화 예금, 사고보험금, 퇴직연금(DC/IRP), 연금저축 등
    • 보호 제외: 펀드, 실적배당형 상품, CMA, 주식 등
    • 의의: 24년 만의 상향 조치로 국민의 금융 불안 낮추고 자산 안정성 강화 

    특히 기존 예금도 소급 없이 상향 적용되므로, 2025년 9월 이후 신규 예치 시 더욱 안전해집니다. 재예치 시에도 신규 취급 여부 확인이 중요합니다 

     


    2. 수입 통관 강화: 과세가격 증빙 ‘일괄 제출’ 의무

    • 시행일: 2025년 9월 1일
    • 변경 내용: 수입 시 과세가격 관련 자료를 송장, 계약서 등과 함께 일괄 제출
    • 효과: 관세 탈루 방지, 거래 투명성 제고

    3. 상장법인 공시 및 지배구조 강화

    • 시행일: 2025년 9월 1일
    • 주요 내용:
      • 신규 상장 시 실적 정보 공시 의무 강화
      • 5% 이상 대주주 정보 공시 강화
      • 감사위원 분리 선출, 소수주주 이사회 참여 확대
    • 효과: 기업의 투명성과 책임 강화, 투자자 보호 제고

     


    4. 검역제도 강화: 식물 및 농산물 밀반입 차단

    • 시행일: 2025년 9월 19일
    • 제재 강화:
      • 미신고 시 300만 원 이하 과태료
      • 판매 목적일 경우 최대 징역 1년 또는 1천만 원 벌금
    • 의의: 병해충 유입 차단으로 농업 보호 강화 

    5. 농지 활용 규제 완화: 지역 활성화 촉진

    • 시행일: 2025년 하반기
    • 내용:
      • 농지이용증진사업 시행 요건 완화(법인 단독 가능, 참여 농업인 수 축소)
      • 농촌특화지구 지정 권한 확대
    • 효과: 농지 활용 증가, 지자체 자율성 강화 

    6. 기업 성장 지원 요건 확대

    • 시행일: 2025년 9월 하반기
    • 내용:
      • 중기업 매출 한도 1,500억 → 1,800억 원
      • 소기업 한도 120억 → 140억 원
    • 효과: 중소기업의 세제·공공조달 혜택 유지 지속 

     


    7. 환경·기상 정책 변화: 전환보증 및 재난 문자는 강화

    • 배출권 거래제 이월 기준 완화, 증권사 거래 허용
    • 녹색전환보증 활성화(중소기업 최대 100% 보증)
    • 호우 문자 전국 확대, 대설 정보 제공 시작 

    요약 테이블

    분야시행일주요 내용
    금융 9/1 예금자 보호 한도 1억 원 상향
    수입 통관 9/1 과세가격 증빙 일괄 제출 의무
    기업 공시 9/1 실적공시·지배구조 강화
    검역 9/19 식물 검역 미신고 시 과태료/징역 강화
    농지 규제 완화 하반기 농지 활용 규제 완화 및 지자체 권한 확대
    중소기업 기준 확대 하반기 매출 기준 확대, 혜택 유지
    환경·기상 수시 배출권 개선, 녹색보증, 재난 정보 강화

    결론

    2025년 9월과 그 이후 시행되는 제도들은 금융 안전, 기업 투명성, 농업 보호, 환경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상생활부터 기업 경영까지 폭넓게 영향을 줄 변화들입니다.

    특히 예금자 보호 한도 상향은 실직적인 재산 보호로 큰 의미가 있으며, 수입 통관, 기업 공시, 농촌 활용, 환경 대응 등은 각자 분야에서 준비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정보를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